뜬금없이 발생하는 윈도우10 메모리 부족 현상 개선하기!
윈도우10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갑자기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메시지를 볼때가 있죠.
해당 증상은 메시지 그대로 컴퓨터에 설치한 램(RAM) 용량이 부족할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데요,
가장 확실한 해결법은 램을 추가로 장착하면 되지만 임시방편으로 가상메모리 설정을 변경하면 됩니다.
추가로 레지스트리 편집기 메뉴에서 값 데이터 변경으로 메모리 부족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윈도우10 메모리 부족 현상 개선 방법을 알아볼테니 다음을 참고하고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윈도우10 메모리 부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가상메모리 설정을 변경해주면 되는데요,
빠른 이동을 위해 키보드 단축키 "윈도우 키+Pause Break"를 누릅니다.
시스템 메뉴창이 열리면 좌측 메뉴에서 "고급 시스템 설정" 항목을 누릅니다.
시스템 속성 창이 뜨면 상단에 있는 "고급" 탭을 누른 다음 성능에 있는 "설정(S)"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성능 옵션 창이 뜨는데 "고급" 탭을 누른 다음 가상 메모리 부분 "변경(C)"을 누릅니다.
가상 메모리 창이 뜨면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관리(A)"를 체크해제하고,
하단에 있는 "사용자 지정 크기(C)"를 선택하면 처음 크기,최대 크기 입력 메뉴가 활성화 됩니다.
이곳에 페이징 파일 크기 권장 수치를 그대로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 적용한 다음 재부팅 합니다.
재부팅 후에 윈도우10 메모리 부족 현상이 발생하는지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윈도우10 메모리 부족 현상은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Start 항목 값 데이터를 변경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 단축키 "윈도우 키+R"을 눌러 실행 창을 띄운 후 regedit를 입력한 다음 확인을 누릅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Services▶Ndu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이 뜨면 위 경로로 이동해서 Ndu 폴더를 선택한 다음,
우측에 있는 이름 목록에서 Start 항목에 마우스 우클릭 "수정(M)" 항목을 클릭합니다.
Start 값 편집 창이 활성화 되면 값 데이터(V) 부분에 입력된 수치를 "4"로 변경하고 확인을
누른 다음에 마찬가지로 컴퓨터 재부팅을 하면 윈도우10 메모리 부족 현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위 두가지 방법 외에 메모리 부족 증상이 뜨면 실행중인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오류가 뜨는 프로그램만 실행하면 안뜨는 경우도 있으니 이 방법도 적용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이기에 위 방법을 적용해도 여전하다면 램을 추가해 보시길 권합니다.
윈도우10 메모리 부족 현상 개선하는 방법 도움이 되셨나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컴퓨터&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메일 백업 진행하는 간단한 방법 (0) | 2018.06.14 |
---|---|
간편한 토스(toss) 사용법 알아보기 (0) | 2018.06.13 |
한글 세로쓰기 적용하는 초간단한 팁 (0) | 2018.06.08 |
서든어택 파일찾기 간단한 방법 소개 (0) | 2018.06.07 |
delfino g3 프로그램 정보 알아보기 (0) | 2018.06.05 |